대학정론_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문애리 이사장(교수신문 논설위원)
누가 미래를 설계하고, 누가 배제되고 있는가. 인공지능(AI)이 산업과 일상을 빠르게 재편하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기, 우리는 이 물음을 정면으로 마주해야 한다. 지난 5월 7~8일, 필자는 유엔 사무총장 직속 ‘10인의 과학기술전문가 그룹(10-Member Group)’ 위원 자격으로 ‘제10차 유엔 과학기술혁신(STI) 포럼’에 참석했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이 포럼은 전 세계 전문가들이 모여 과학기술이 지난 10년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한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5년, 나아가 그 이후 미래를 위한 혁신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이번 포럼은 과학기술이 사회 문제 해결의 핵심 수단임을 다시금 확인시켰다. AI 기반 기후 예측, 원격진료, 교육 플랫폼, 농업 자동화 기술은 개발도상국의 의료·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한 사례로 주목받았고, 우주 기술 역시 재난 대응, 질병 감시, 도시계획 등 공공서비스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들 기술의 예측·분석 역량은 공공정책과 사회 시스템을 정밀하게 설계하고, SDGs 달성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평가다.
동시에 기술 발전이 초래한 사회적 불평등과 디지털 격차도 주요 쟁점으로 다뤄졌다. 전문가들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혁신’을 위해 지역·세대·젠더 간 불균형 해소와 포용적 기술 접근 원칙 마련의 필요성에 뜻을 모았다.
전 세계적으로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에서 여성 연구자 비율은 약 30%에 불과하며, 핵심 기술직이나 의사결정직으로 진입하는 비율은 더 낮다. 이는 단순한 경력단절 문제가 아니라, 미래 사회의 구조와 방향이 누구에 의해 설계되는가를 묻는 본질적인 질문이다. 필자는 STI 포럼 ‘세션2: 성평등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발표에서, 디지털 전환은 성평등 없이는 완성될 수 없으며, 이를 위해 데이터, 제도, 기술 전반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첫째, 신뢰할 수 있는 성별 분리 통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성별에 따른 실태와 격차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다면 문제 해결의 출발점조차 찾기 어렵다. 정부와 기관은 성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공표하고, 분야·직급·경력 단계별로 세분화된 통계 인프라를 마련해야 한다.
☞ 기고문에 대한 전체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교수신문 : https://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36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