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개발부터 성과 확산까지 고려한 최초의 보고서
- 과학기술계 다양성ㆍ형평성ㆍ포용성 진단 위한 76개 지표 기준 제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이사장 문애리, 이하 WISET)은 과학기술계가 추구해야 할 다양성,형평성,포용성(이하 'DE&I'*) 가치의 확산 방안을 담은 ‘과학기술계 DE&I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과학기술계 연구 및 사업·서비스 개발과 성과 확산까지 고려한 최초의 DE&I 보고서다.
*DE&I :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
‘과학기술계 DE&I 보고서’는 「제5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 기본계획」에 따라 과학기술분야 내 인재 다양성 확보를 위한 세부 추진과제로 기획됐다. WISET은 DE&I 문화가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과학기술계 DE&I 정의, △과학기술계 DE&I 현황진단 및 지표(안), △과학기술계 DE&I 우수기관 사례로 구성됐다.
특히, 과학기술계 DE&I 수준을 측정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도록 76개 세부 지표를 개발했다. 해당 지표는 △다양성(기관 내 인적 다양성, 채용 및 승진현황) △공평성(연구기회, 자금분배, 접근성 보장) △포용성(연구문화,정책) △성과(연구성과, 조직문화 만족도 등) 4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기관별 DE&I 현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발전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했다.
보고서에는 DE&I를 실천하는 주요 기업과 기관 사례도 포함됐다.
ㆍ카카오: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의 윤리적 기준 수립, ‘안전한 인공지능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도입하여 기술·서비스 개발의 포용성을 확보
ㆍ유한킴벌리: 이른둥이용 초소형 기저귀 개발, 포용적 제품 생산과 더불어 다양성과 포용위원회를 출범하여 DE&I 지표를 이사회에 정기 보고
ㆍ카이스트: ‘카이스트(KAIST) 다양성·포용성 선언문’ 발표, 육아기 교원 지원 제도 운영 등을 통해 동등한 연구 기회 제공
문애리 WISET 이사장은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마련을 위해 DE&I 확산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의 문제”라며, “앞으로도 다양성에 기반한 포용적 연구 문화 조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WISET은 과학기술계 내 DE&I 확산을 위해 DE&I 보고서를 지속 발간할 계획이다. ‘과학기술계 DE&I 보고서’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누리집 내 ‘정책·통계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끝//
WISET은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복권기금은 여성과학기술인의 육성과 활용 활성화를 통해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합니다. |
담당 부서 |
정책연구센터 |
권지혜 센터장(02-6411-1031), 서은영 선임(02-6411-1038) |
홍보 부서 |
대외협력홍보팀 |
오은성 팀장(02-6411-1042), 문동선 주임(02-6411-1037)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은 <여성과기인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공공기관으로, 국가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및 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기관의 주요 목표는 여성 과학기술인의 역량을 높이고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이공계 분야의 여성 일자리 발굴 및 취업 연계 △경력개발 교육과 멘토링 △법/제도 지원 △정책연구 및 통계조사 △과학기술계의 지속성장 생태계 문화 조성 등이 있다.